삼성전자
-
[신문 스크랩] 인텔의 몰락, 한국을 떠나는 연기금,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 반도체 훈풍신문 2024. 9. 28. 11:15
2024년 9월 4번째 주 인상깊었던 기사 스크랩 인텔의 몰락과 자사주 매입 반도체 산업의 산 역사라고 할 수 있는 인텔이 대규모 적자와 주가 폭락으로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전략적 실패→ 애플의 모바일칩 제조 요청 거절→ 본업인 중앙처리장치(CPU) 부문에서 AMD한테 따라잡힘(인텔 엔지니어들의 AMD로 대규모 이직)→ 파운드리 사업 실패→ 인공지능(AI) 가속기 시장에서 엔비디아에 주도권을 빼앗김 전략적 실패의 배경→ CPU 시장 부진 / 신사업 지지부진→ 축소지향적 주가분양(자사주 매입 확대, 직원 감축 등) 결과→ 10년 동안 인텔의 순이익 47% 가량을 자사주 매입에 썼지만 이 돈은 허공으로 날아갔다→ 자사주 매입의 가장 큰 폐해 = 최고 경영진이 비전을 갖고 시장을 끌고 나가기보다 시장의 ..
-
[기업 분석] LG 디스플레이 재무제표 분석주식공부 2023. 5. 21. 14:00
1. 사업 보고서와 감사 보고서를 활용한 정보 수집과 기업 프로필 작성 당사는 OLED 및 TFT - LCD 등 디스플레이 기술을 활용한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를 하고 있으며 판매 제품군 별 매출 비중은 TV 26%, IT 43%, 모바일 및 기타 부분이 31% 회사채 등급 = A+(원리금 지급능력은 우수하지만, 상위등급보다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른 영향을 받기 쉬운 면이 있음) 기업 어음 = A2 +(적기상환가능성이 우수하지만 A1 등급에 비해 다소 열위한 요소가 있음) 당사는 수출을 주력으로 하는 깅버으로 해외 미출 비중은 약 97% 22년 연간 약 5.2조원 규모의 설비 투자를 집행했으며, 23년도에는 재무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전년 대비 축소하여 집행할 계획(약 3조 규모) 당사의 매..
-
[신문 스크랩] 도 넘은 미국의 압박, 증시 뒤흔드는 빚투 매도폭탄, 복수의결권 도입, 한일 무역분쟁 종료신문 2023. 4. 29. 11:55
이번 주 인상깊게 읽었던 기사들 스크랩 최대시장 中에 팔지말라니... 삼성, SK. 도 넘은 美 압박에 속앓이 What 미국 마이크론에 대한 중국 당국의 제재가 현실화되면 그 공백을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이 채우지 않도록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에게 요청했다. Why 중국이 거대한 시장을 무기로 미국의 대중 반도체 압박에 맞대응하려 하자 이를 막기 위해 주로 장비와 투자 측면에서만 제한을 주던 미국이 수출 자체에 언급하기 시작했다. How 메모리 반도체 가운데 D램의 경우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마이크론이 세계 시장의 95%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도 한국 기업은 마이크론을 대체할 수 있다. 한국기업이 중국 내 수요를 만족시키지 않게 하려는 대중압박 ..
-
[신문 스크랩] 베트남의 무역 흑자 1위 국 등극, 마이크로 소프트의 추락과 아마존의 역대급 정리해고, 삼성전자 영업이익 69% 감소신문 2023. 1. 7. 16:34
韓 무역 판 바뀌었다 베트남이 무역 흑자국 1위 What 베트남이 사상 처음으로 한국이 무역수지 흑자를 가장 많이 거둔 국가로 부상했다. Why 2015년 한국, 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기폭제 삼아 교역량이 급증했고, 최근 베트남이 글로벌 기업 사이에서 '중국의 대체 생산지'로 부상했기 때문 How 지난해 베트남 무역 흑자는 43조 원에 달한다. 주요 수출품도 과거 노동집약적 품목에서 OLED,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탈바꿈 하고 있다. 모르는 용어 X 투자에 적용할 점 중국 주식이 많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반등하고 있고 중국 정부의 정책이랑 중국 기업의 성장세도 만만치가 않아서 잘 모르겠다. 최근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지했고 배터리 ..
-
[신문 스크랩] 중국에서 탈출하는 외화자본, SK 하이닉스 실적쇼크, 반도체 치킨게임 승자를 노리는 삼성신문 2022. 10. 30. 14:25
이번주 인상깊게 읽은 신문 기사들 스크랩해봤습니다. 시황제에 발길 돌린 큰 손, "Bye 차이나. Buy 코리아." What 시진핑 3기 체제 출범에 따른 리스크로 '차이나 런' 현상이 발생했다. Why 시진핑 연임으로 미중 갈등, 대만 문제는 더욱 심화될 것이며 시진핑 1인 독주체제로 인한 반시장 정책이 경쟁력을 떨어뜨렸다는 분석이다. How 25일 홍콩증시에서 하루만에 3조 5천 억원이 빠져나갔으며 24일 하루만에 알리바바, 핀둬둬, 징둥닷컴, 차이나 텔레콤, 넷이즈 드 중국 기업의 시가 총액이 75조원 증발했다. 모르는 용어 X 투자에 적용할 점 최근 시진핑 독주체제의 완성으로 중국에서 엄청난 속도로 외국자본이 빠지고 있다. 많은 경제 대가들이 "곡소리가 날 ..
-
[경제신문 스크랩] 22년 6월 마지막 주신문 2022. 7. 2. 08:34
6월 27일 한중일 배터리 전쟁 What 배터리 산업이 일본에게는 따돌림 당하고 중국에게는 추월당하고 있다. Why 배터리 산업이 태동기를 벗어나 경쟁국면에 진입 일본은 기술적으로 한국보다 우월 중국은 정부 주도의 지원 진행중 How 중국의 경우 CATL이라는 회사를 엄청나게 밀어줌 - 중국 회사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에만 보조금 지급 - 1회 충전에 1,000km 가는 배터리 양산 계획 2. 일본의 도요타, 닛산, 혼다 등의 기업이 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는 중 3. 한국은 인재가 부족하다. 반도체 인원도 부족한 판국에 우수한 인재들이 배터리 산업 쪽으로 오지 않는 것이다. 모르는 용어 USMCA - 미국, 캐나다, 멕시코간의 무역 협정 - 특정 상품의 무관세 - 미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의 경우 미국,..